Wednesday, July 31, 2013
R.E.M- Losing My Religion
That's me in the corner, that's me in the spot-light/ I am losing my religion
Every whisper, every waking hour/ I'm choosing my confession.
이유를 막론하고, 끝났다는 생각에 비로소 마음이 편해진다.
나는 어리석었고, 탐욕스러웠으며, 야비했던만큼의 댓가를 받았다 생각하면
차라리 모든 것을 잊고 싶다.
황호욱- 너무 다른 널 보면서
나 영원할 거라고 생각했던
그 믿음조차 무색한 것은
누구의 탓도 아니겠지만..
늘 모든 건 변한다고 하지만
나 여기 이대로 서 있는 걸
이제 너무 다른 널 보면서
나 미처 몰랐던 널 알게 된 거라
생각하면서 너에게 다가가도
너를 닮아가는 건
나를 잃을 뿐인데
그냥 여기서 널 기다릴게
*손목이 부러지다시피 하는 바람에 (해외에서 살다보면 병원을 잘 가지 않게된다...) 당분간 운동을 못했다. 그리고 오늘 아침에 병원 예약 해둔 것을 깜박 잊어서 다시 한동안은.. 아아 나는 왜 이렇게 산단 말인가. 엉엉
** 이소라 2집에 실려있는 [너무 다른 널 보면서]의 원곡. 황호욱도 목소리가 곱고 울림이 강해서 두 노래 사이에 별 어색함이 느껴지지 않는다. 이런 점에서 정 반대편에 놓여있는 것이 (김장훈의 노래로 잘 알려진) [나와 같다면]이 아닐까 싶은데, 원곡을 부른 박상태와 김장훈이 소화해낸 방식이 너무 다르다. 박상태의 원곡은 불과 3년여 만에 김장훈에게 리메이크되었을만큼 그닥 존재감을 보이지 못했는데, 사실 그의 미성으로 부르는 [나와 같다면]은 지나치게 예쁘고, 뻔하다는 생각마저 든다. 수록 앨범 제목이 괜히 Lady's Man인 게 아녀...
***김동률이 다른 가수나 프로젝트에게 준 곡들에서 가장 좋아하는 것이기도 하다. [너무 다른 널 보면서]나 [1994넌 어느 늦은 밤] 언제나 이 둘 가운데 하나. [1994....]도 곧 올려야지.
Monday, July 29, 2013
Elliott Smith- Miss Misery
나도 요즘 내가 왜 이리 엘리엇 스미스를 자주 듣는지 모르겠다.
Do you miss me, Miss Misery? Like you say you do?
I know you'd rather see me gone than to see me the way that I am.
들을 때마다 '엘리엇 스미스는 가사들이 참 예쁘네요'는 말을 새삼 떠올리면서.
그러게요, 진짜 이쁘네요. 그토록 들으면서도 이상하게, 그 생각은 못했는데 말이죠.
The Greatest Hitter Who Ever Lived.
"A Man has to have goals- for a day, for a lifetime- and that was mine, to have people say, 'There goes Ted Williams, the greatest hitter who ever lived."- Ted Williams
Cyndi Lauper- When You Were Mine
책을 읽을 때도, 음악을 들을 때도 집착하게 되는 사소한 소재들이 있다. 그런 것을 푼크툼이라 하나....? 전에 누군가가 '당신은 어머니와 아들의 관계에 대해 관심이 많은 것 같다' 고 했듯이.
원래 그 말을 떠올리며 When Doves Cry를 올리려했는데 프린스는 유튜브 싫어하잖아. 이 노래도 나는 참 좋아하고, 또 다른 생각들을 떠오르게 하니 아무래도 상관없지만.
사실 이 앨범의 거의 모든 것을 좋아한다. 멍멍한 신디사이저의 음. 신디 로퍼의 째질 듯한 목소리. 파란 지붕에 곱게 달린 문이 돋보이는 커버. She's So Unusual 이라는 제목까지. 모든 것에서 터질 듯한 유쾌함이 느껴진다.
프린스의 가사를 그대로 부르는 바람에 노래가 동성애에 대한 미묘한 암시를 띄게 되었다는 점도 재미있는 사실이다. 사실 이 앨범 전체가 섹스와 금기에 대한 온갖 암시로 가득 차있지만.
Sunday, July 28, 2013
Heaven's Gate (Ella's Waltz)
왈츠하면 생각나는 몇개의 이미지가 있다. 그 중 두가지: 만화 [파수꾼의 왈츠]에서 손을 잡고 춤을 추던 지다와 홍조의 모습 (손을 잡고 당신과 춤을 추는 게 행복입니다), 그리고 마이클 치미노 (Michael Cimino)의 Heaven's Gate 속 Ella의 왈츠.
Elliott Smith- Waltz #2
"I'm never going to know you now/ But I am going to love you anyhow"하지만 엘리엇 스미스가 and on, and on, and on을 반복해서 외칠 때 이 노래는 정말로 아름다워진다. 마치 찬란한 햇살이 갑자기 부서져 들어오는 것처럼. 그 햇살 아래 누워 눈을 꼭 감은 채, 몸을 활짝 펼쳐보고 싶다. 볼이 햇볕에 익어 화끈거리기 시작할 때까지만 저 선율이 반복되기를.
Tell the Mr.Man with impossible plan/ to just leave me alone 이 부분도 좋지. 화를 애써 누르려는 듯 나지막하게 노래하다 leave-me-a-lone을, syllable 하나 하나에 힘을 주어 내뱉는 엘리엇 스미스. 이 노래를 들을 때만큼은 엘리엇 스미스를 직접 보고 싶다. 작고 어두운 극장에서 그가 시무룩해 하고, 짜증을 내고, 화를 내고, 자포자기 하는 모습을 지켜보고 싶다. 이 '왈츠'의 선율에 맞춰 손뼉을 치면서 나지막하게 노래를 따라불러보고 싶다. 누군가와 손을 잡고 텅 빈 방에서 빙글 빙글 춤 추는 모습을 상상하고 싶다.
이기찬-또 한번 사랑은 가고
박진영이 작곡한 노래들 중에서 가장 부담없이 들을 수 있는 곡. 싱어송 라이터를 자처하면서 애매한 입지에 머물러 있던 이기찬은 이 노래의 성공을 계기로 유명 작곡가들의 도움을 받기 시작했고 이후 [감기]와 [미인] 모두 전에 없던 흥행을 거둔다.
이 노래의 가사를 곱씹자면 사람이 이렇게까지 '찌질'한 생각을 할 수 있다는 데에 새삼 놀라곤 한다. 사귀던 이에게 지루함을 느끼고 먼저 이별을 고하려 하지만, 결국 자신이 이별 통보를 받게 되자 "눈물만 흘렸"다는이야기. 그리고 중얼거린다. "이렇게 또 한번 사랑은 가고". 노래의 화자는 대체 몇번이나 차였던 것일까. 그를 울게 만든 것은 떠나간 사랑일까, 아니면 자신이 먼저 찼어야 했다는 아쉬움일까.
울고 있는 내 모습이 이젠/ 항상 나만 이러는게 이젠
너무 지겨워서 너무 한심해서/ 웃으며 보내보려고 해봤어
연습했던 그 멋진 표정도/ 준비했던 이별의 말들도
헤어지잔 너의 한 마디 말 앞에/ 모두 잊어버린 채 또 난 눈물만 흘렀어
난 이렇게 바라보고 있고/ 넌 그렇게 멀어져만 가고
또 내 눈엔 눈물이 흐르고/ 또 한번 사랑은 가고
Tuesday, July 23, 2013
Global Noise: Rap and Hip-Hop Outside the USA
Global Noise: Rap and Hip-Hop Outside the USA
Ch.10 "Who is a Dancing Hero?": Rap, Hip=Gop, and Dance in Korean Popular Culture
by Sarah Morelli
Watching a television camera descend into a basement practice space located in one of the poor sections of Pusan, South Korea, I was struck by the loud hip-hop music, Korean style. Youthful voices, high-pitched synthesizers, and a strong, pulsing bass filled the air as teenage boys practiced their dance moves in front of a wall of mirrors. Other walls were covered with graffiti, including one slogan that translates as "If it is impossible, make it possible."(안되면 되게 하라..-_-) This Korean saying, traditionally invoked by students preparing for exams, here inspires young people who see music as their means to success. The young men who come to this practice space devote hours after school honing what they believe to be their most marketable skill, dance.
For teens in Korea today, such hopes of stardom are not entirely misplaced. In a country where approximately half the population is under age thirty, rap, hip-hop, and other types of dance music are the best-selling styles. Current pop music is said to receive 70 to 75 of available air time on Korean radio stations ("Inroads" 1998) p.248
To a newly arrived Westerner, these scenes may seem to exemplify the growing homogenization, the "cultural gray-out" cautioned against by the likes of Alan Lomax(1977) in the late 1970s... However, as scholars have recently observed, seemingly unchallenged appropriations by those on the periphery of a globalized cultural network are often embedded with new and unique meanings. Arjun Appadurai writes, "If 'a' global cultural system is emerging, it is filled with ironies and resistances sometimes camouflaged as passivity and a bottomless appetite in the Asian world for things Western" (1990:3) The seeming homogenization of music in the case of Korea, in other words, is replete with new innovations, both musical and societal. (249)
A mix of Western genres is common in gayo, or Korean popular music. Genres are both juxtaposed within an album and overlaid within one song. Album jackets at times explicitly label the genres represented in each song. In one rather extreme example, the group Solid designated a genre for every song on their album. The broad range of genres and creative descriptions included a cappella, Latin house, R&B ballad, hip-hop techno, 1970s ballad, funky, house, and P-funk (Solid 1995)
Though this patchwork of sytyles and representations might be problematic for American listeners, who as Mark Slobin (1993:86) claims, are often "highly sensitive to finely tuned distinctions in style," they do not hold the same symbolic meaning for Korean musical consumers. In the words of one Korean styudnet, this simply "keeps the album from becoming boring" (H.J. Lee, interview by author 1996). In this case the genres have been lifted from thei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resituated and "indigenized" (to use Appadurai's term) into Korean culture. In the process, these Western popular genres have been emptied of some of the extramusical associations that would disrupt a listener's expectations of stylistic coherence. Instead, this music has been transformed and new musical associations created.
This amalgamated style of popular-music is an important marker of identity for Korea's shinsaedae, or "New Generation"; "[Korean] newspapers are filled with stories about the New Generation-those born after 1970- whose values and customs seem alien and irresponsible to their elders. These are youth who cut holes in new jeans, prefer pizza to rice, and don't believe that the old are necessarily wise (Kim 1993). Kim Byong-suk, a professor of sociology at Seoul's Ewha Women's University, further described this group: "The New Generation is loosely identified as those in their twenties, with rap music and Seo Taiji at the center"(Kim 1993)
The Korean censorship board banned portions of the songs, so instead of changing the lyrics, the groups released the songs as an instrumental. The second issue of the album included the remaining lyrics that were permitted, and to make their audience aware that the song was being censored, the group replaced the outlawed lyrics with bleeps. Finally, the third issue of the album included the song in its entirety. (252)
This account illustrates a few significant aspects of Korean youth culture. First, it emphasizes the deep reverence that many young people in the 1990s had for Seo Taiji (and the extent to which Korean youth idolize many pop groups). In one Web site dedicated to Seo Taiji and the Boys, titled "To the greatest Korean musicians ever", the author announces, "Seo Taiji...has become the best there was and the best there is, and the best there will ever be".... Second, the story reveals gender patterns common to contemporary popular-music culture in Korea. Few women perform as musicians in this music scene, yet they play strong roles behind the scenes as fans. Those who do perform are often ballad singers or are in the minority within larger pop groups. In music videos as well, females are, to use Walser's term (1993), "excripted"- conspicuously absent from situations that articulate ideals of masculinity and exhibit male bonding.
The video for one of Taiji's songs, "Hayeoga"(Anyway), illustrates different levels of endogamous and exogamous male bonding The video begins with a crowd of men gathered at the bar of a nightclub. Korean and African American men dressed in trendy clothing, some with dreadlocked hair, sway back and forth to hip-hop music. When thy begin to dance, the three African American males jeer (in English with Korean subtitles) at their Korean counterparts: "Man, these guys can't dance!" The Korean men do their best to impress their critics, without success. At this point, one anxious Korean makes a phone call to Taiji , whom he asks to come and help them out. Predictably, Taiji and the Boys step in and save the day. We then cut to a studio location, where standard backdrops provide the setting for the music video, in which the unnamed black men continue to play cameo roles. (253)
This video clip is not only a celelbration of Afrodiasporic cultural aesthetics, but a competition as well. Through this contest of masculinity as well as dance, we see the reification and expansion of a racialized hierarchy of hipness, in which, globally, the African American man now defines the standard. This scenario compares remarkably with a long-standing social dynamic in the USA in which, as Tricia Rose states, "young white listeners are trying to perfect a model of correct white hipness, coolness, and style by adopting the latest black style and image"(1994:5). By gaining the respect of these black men and savinf face for his fellow Koreans, Taiji establisses both alliances. He not only proves his own capability to compete in this now international music space, but also suggests that his superior capabilities are something for other Korean men to aspire to.
Other groups in Korea also try to demonstrate their authenticity through the use of English words and Western cultural markers. Adopting specifically African American phrases to give authenticity to nonblack versions of rap music is prevalent, though certainly not unique to Korea. Many current groups emply one member who specializes in rapping. (253)
The importance of the visual and somatic elements of this music has been recognized from the beginning. Taiji, whose music was instrumental in establishing rap's popularity in Korea, chose the other two members of the group- "the Boys"- based not on their musical but their dancing abilities. According to fans, their role within the group continued to be primarily dance and image oriented throughout the group's career. Likewise,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for record-company scouts is the ability to dance well, and they often find new talent at dance competitions for high school-aged people. (254)
Monday, July 15, 2013
은행 융자 신화
어렸을 때부터 돈을 많이 벌고 싶었다. 돈이 부족해서 무엇인가를 못해본 기억은 없다. 하지만 사실 아이들도 알 건 다 아는 법이다. 게다가 부모님은 종종 '너를 우리가 없이 키우지는 않았다' 고 말씀하셨으니까, 애써 모르고 살려해도 한번씩 그렇게 집안의 재정상태를 상기해야 했다.
돈을 어떻게 벌어야할지 전혀 알지 못했던 것이 문제였다. 아버지가 그런 질문에 답변을 줄 수 있으리라곤 생각하지 않았다. 어머니는 대신 내게 '경제학' 책을 사주셨다. [펠릭스는 돈을 사랑해]나 [열두살에 부자가 된 키라] 같은. 씨발 펠릭스는 금화를 얻었잖아. 키라에게는 말하는 개가 있었고. 애초부터 말이 안되는 이야기였다. 설령 그들의 조언을 조금 더 합리적으로 받아들인다 해도, 길거리에서 레모네이드를 파는 일 따위가 한국의 11세 소년에게 가능할리 없었다. 그래도 쓸데없는 경쟁심은 있었기에, 나는 12살까지는 부자가 되어야겠다고 속으로 다짐했다. 내 사업을 생각할 거야. 그리고 13살, 15살, 20살. 연암의 글 속 '민옹'처럼 나이만 헛먹었다.
사실 모든 것이 나의 잘못이었다. 존나게 많이 뜯어먹었으니까. 무엇인가를 사달라고 졸라본 적은 별로 없다. 그러나 애초에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란 자식을 적게 낳아 많이 투자하는 종이다. 더욱이 내가 자라난 수도권의 신도시에서 외동아들은 [매트릭스] 속 네오보다도 기대받는 존재였다. 모피어스가 네오에게서 매트릭스를 깨뜨릴 구세주를 발견하듯, 신도시의 부모님들은 자신들의 아이에게서 신분 상승의 가능성을 엿보곤 한다. 20평 아파트에서 주상 복합으로. 샐러리맨에서 전문직으로. 나 역시도 신도시의 수많은 '네오'들 중 하나였다. 마치 예언을 해독하듯, 부모님은 내가 무심코 던진 한마디의 단어에서 재능을 찾아내었고, 투자의 가능성을 발견했다.
[매트릭스]나 성경 정도 될 줄 알았던 이야기는 알고보니 남미 신화였다: 흰 얼굴에 수염을 기른 영웅이 언젠가 돌아와 세상을 구원하리라. 정말로 흰 얼굴에 수염을 기른 사나이가 나타났을 때, 남미인들은 열광했다. 사나이가 예언 속 구원자와 얼굴이 닮았을 뿐인, 침략자라는 것을 깨달았을 때는 이미 그들 모두가 노예로 전락한 후였다. 오늘날 우리들은 그 시절 남미인들의 어리석음을 조롱하지만, 사실 이 부조리극은 신도시에서 한 집 건너 일어나는 일이다. 늙은 부모는 온갖 융자와 빚더미 위에 걸터앉아, 고개 숙인 자식을 내려다보며 "자식인 줄 알았는데 웬수" 라고 한탄한다.
(그 책임을 조금이나마 덜기 위해선 동생이라도 낳아달라고 했어야 했다. 어릴 적에, 혼자 스케치북에 낙서를 하고 있자면 어른들이 다가와 묻곤 했다. "ㅇㅇ야. 동생 안 갖고 싶어?" 그들의 얼굴에 떠오른 기묘한 미소가 불쾌했고, 어린 동생이 내 스케치북을 찢어버리지 않을까 두려웠던 나는 단호하게 고개를 저었다. 아아 그 따위 스케치북이 뭐라고. )
땡그랑 한푼, 땡그랑 두푼. 카드 회사에 돈이 굴러들어왔다. 내가 한창 고등학교 입시를 준비하던 해- 그러니까 2005년 즈음에, 곳곳의 TV에서는 카드사가 흥겨움을 감추지 못하고 부르는 콧노래가 들려왔다.
아버지는 말하셨지 인생을 즐겨라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