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iday, August 9, 2013

[Bicentennial Man]




*아직 영화를 보지는 않았다

**이 글이 떠올랐을 때 바로 쓰지 않았던 것은 그 생각에 너무나 감정이 많이 들어가있었기 때문이다. 시간이 제법 지나고 쓰니 글은 시들한 느낌이지만 그만큼 '선'을 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될 듯하다

삼촌은 40번째 생일에 울었다고 했다. 그 고백은 돌이켜보면 나를 향한 하나의 경고이기도 했다. 너 또한 그렇게 될지도 몰라. 삼촌은 그러나 우리들 중 가장 '성공한' 사람이었다. 그조차도 40을 넘었을 때 엄습해오는 패배감과 이루어지지 못한 것에 대한 영욕을 어찌 하지 못했다는 사실에 나의 입은 썼다- 종종 그랬듯, 사람들은 나에게 너무 많은 것을 바라고 있었다. 

어떤 '사고'가 있고 나서, 나는 내 주변 사람들의 장례식에 대해 생각하는 고약한 습관을 얻었다. 아버지의 장례식을 생각했고, 어머니의 장례식을 생각했고,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그곳에 올 수 있을지, 누가 오게 될지에 대해 상상하곤 했다. 혹자의 장례식에는 나조차도 참석을 장담할 수 없었다. 하지만 그렇다면 누가 그를 챙겨줘야 하겠는가? 내가 오지 않은 장례식장에서 모여 수군거리는 이들의 모습들을 떠올리며 나는 진저리 쳤다. 

40도 어떻게 넘길지 모르는 인간이 다른 사람의 죽음까지 돌봐야 한다는 것이 우스웠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이 두가지 생각의 줄기는 내가 중년과 노년을 무력감과 동일시하게 만들었다. 40 이후의 어느 누구도 내게 설득력있는 삶의 모델을 제시하지 못했고, 그러다가 어느 순간 죽었다. 사고사든, 병사든, 40이 넘은 이의 죽음이 내 머릿 속 한켠에 '자연스러운 결말' 이라는 인상을 남기는 것을 나는 어찌할 수 없었다. 

그 인상은 좀더 구체적으로 이런 것이었다. 
왜 내가 여기까지 왔지? 여기가 
어디지? 끝? 끝?  
그래 너는 이제 끝이야. 외판원이 
너의 끝이야. 네 삶의 끝이야!        
                    -장정일, 안동에서 울다 중 

어제 불을 끄고 누워서...... 문득 이 영화를 생각했다. 생산 공정의 오류로 감정을 가지게 된 로봇이 미래 어느 한 가정에 도착한다. 로봇은 주인집의 딸과 사랑에 빠지고, 그 감정을 어찌 하지 못해 오랜 기간 동안 집을 떠난다. 떠나있는 동안 그는 자신의 몸을 서서히 인간으로 만들어나간다- 인간이 아니면 공식적으로 사랑할 수 없기 때문이다. 돌아왔을 때 주인집 딸은 죽고 없었지만, 그녀와 꼭 닮은 딸 (이었나 손녀였나) 이 살아있었다. 그리고 둘은 다시 사랑에 빠진다. 

 로봇이 정말 주인집 딸을 잊어버린 것인지, 그게 아니라면 그녀를 가슴에 묻은 로봇의 사랑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같은 질문은 잠시만 미뤄두자.

내 머릿 속에 떠올랐던 것은 마지막 장면이었다. 로봇은 이제 완연한 인간이 되어 '죽음' 을 기다리고, 인간이 되기 위한 최후의 조건까지 충족시킨 그를 정부가 인간으로 인정해주길 기다리고 있다. 옆에는 마찬가지로 노인이 된 그의 사랑- 주인집... 손녀?-이 누워있다. 뉴스가 시작되고, 정부가 그를 인간으로 인정했다는 소식이 나온다. 로봇은 기쁨을 감추지 못하며 옆을 돌아보지만 이미 연인은 죽어있었다. 그리고 로봇은 자신의 생명 유지 장치를 끈다. 

정말 먼... 훗날에, 정말 정말 오랜 시간이 흘러 내가 죽음을 앞두게 되었을 때- 그렇게 살 수는 있을지 모르겠지만- 나는 어쩌면 깨달음의 순간을 얻게 될지 모른다. 로봇이 살아온 삶이 그가 인간임을 선언하는 정부의 발표로 새로운 의미를 가지게 되었듯, 나 역시 내 삶을 다시 되돌아볼 수 있는 한번의 기회를 얻게 될지 모르겠다. 수많은 ups and downs. 그리고 그 기회의 끝에서 나는 내 옆에 누워있는 사람을 보게 되겠지. 그 사람의 모습에서 나는.. 

Rolling Stones- Paint It Black



I see a red door and want it painted black
no colors anymore I want them turn black
I see the girls walk by dressed in their summer clothes
I have to turn my head until my darkness goes
I see a line of cars and they're all painted black
with flowers and my love both never to come back
I see people turn their heads and quickly look away
Like a new born baby it just happens ev'ry day
I look inside myself and see my heart is black
I see my red door and it has been painted black
Maybe then I'll fade away and not have to face the facts
It's not easy facing up when your whole world is black
No more will my green sea go turn a deeper blue
I could not foresee this thing happening to you
If I look hard enough into the setting sun
My love will laugh with me before the morning comes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를 보다.

영화의 등장인물은 시나리오에 의해 운명이 정해져있고, 그보다 더 비극적인(?) 경우 장르의 법칙에 따라 캐릭터 설정 단계부터 그들이 어떤 결말을 맞을지 예고되어있다 해도 과언이 아닌데, 이 영화는 그 미묘한 '실존'을 비틀어 장난치고 있다. 블론디는 언제나 the Good이며 돈을 챙겨 유유히 달아날 것이고, 엔젤 아이즈는 the Bad로서 심판을 받을 것이며, 그리고 '못난 놈' 투코는 항상 땅을 치고 후회하는 바보로 남을 것이다. 그들이-물론 영화 속에서- 어떤 의도를 가지고, 움직였으며, 어떤 삶을 살았던지.

좀더 생각을 해보고 싶지만 오늘은 이 정도로 정리해본다.

p.s: 사실 저 위의 장면이 지나고, 투코가 돈 자루에 코를 박고 엎어지면서 'the Ugly', 다음으로 죽어 넘어져있는 엔젤 아이즈를 보여주면서 'the Bad'라는 자막이 뜰 때가 가장 인상적이었다. 아, 그리고 블론디의 "such ingratitude"운운 하는 대사도.

p.s.2: 블론디와 투코는 생명을 담보로 놀음을 한다. 이 점도 영화를 이야기할 때 빠져선 안될 듯 싶으다. 그리고 한번 죽었다 살아나올 때마다 투코의 '목숨값'이 올라간다는, 얼핏 당연하면서도 아이러니한 사실도.

p.s.3: 투코의 죄목 중 하나였던 "raping a virgin of the white race". 그러고보면 투코는 영화에서 가장 비중이 큰 히스패닉(?) 인물이기도 하다.

Thursday, August 8, 2013

이기찬- 감기


어느 카테고리에 넣어야 할지 한참 고민했다. 그닥 의미를 부여하고 싶지 않은 포스팅이라서. 그냥 "1년이면 되니/ 돌아올 수 있니" 저 한소절이 유독 듣고 싶었다.

Toni Braxton-You're Makin' Me High



How high? So high that I can kiss the sky? 말 그대로 '넘실거리는' 이 리듬.

Your Precious Love



Heaven must have sent you from above
Heaven must have sent your precious love 


*여러분은 어느 것이 더 좋은가? 마빈 게이와 태미 테럴이 듀엣으로 부른 [Your Precious Love] (위), 그리고 그 둘이 세상을 떠난 뒤, Marvin Gaye의 탄생 60주년을 맞아 제작된 앨범에서 D'angelo와 에리카 바두가 호흡을 맞춘 [Your Precious Love] (아래). Gaye의 보컬이 그 누구보다도 세련되었노라 생각하는 나에게도 D의 커버는-나지막히 '오우' '예'를 연발하는 도입부에서부터- 도무지 거부할 수 없는 한 방이었다. 하지만 태미 테럴과 바두라면 전자의 손을 들어주고 싶다. 태미 테럴의 목소리가 가진 저 청량감.

**테럴은 게이의 뮤즈였고, 그와 한 시대를 같이 했다. 테럴과의 만남은 무대에서 노래를 부르는 데에 익숙하지 않았던 게이를 라이브 아티스트로 성장하게 했고, 그녀의 이른 죽음은 게이가 '모타운 식' 사랑 노래를 버리고 새로운 영역에 관심을 갖게 되는 하나의 계기를 제공했다.

      (그러니까 테럴의 삶과 죽음은-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런 것을 가능케했던              것이다. 마빈 게이는 위 공연 이후 국가를 모독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오늘날에는 가장 위대한 국가 제창으로 꼽히고 있지만...)   
*** 눈매가 이쁜 사람들이 웃는 모습은 보는 사람을 기분 좋게 만든다. 혹은 애초부터 그 사람의 웃음에는 다른 이들을 기분 좋게 만드는 매력이 있어서, 알 수 없는 그 매력을 설명하려다 눈매에 모든 공을 돌려버리는 것일지도 모른다. 어느 쪽이나. :)

그럴 때면 아기를 보듯, 아기의 손이나 발이나, 그것들이 움직이는 모습을 보면서 '아 얘 좀 봐봐' 하고 호들갑을 떨듯, 탄성이 입술 뒤까지 밀려온다. 금새라도 웃음이 터질 것만 같다. 그 '이쁜'  모습에. 그러다  문득 부끄러움을 느끼고 입 속으로 우물거리고 말겠지만.

Al-Farouq Aminu


나스의 유명한 가사를 살짝 바꾸자면, blood of a player, heart of a king 정도 될까.

Al-Farouq이라는 이름은 '왕이 도착했다' 라는 뜻으로 그의 가문은 나이지리아 지역 어느 왕조의 후예라고 한다. 정작 본인은 한번도 나이지리아에 가본 적이 없다지만.

팔 다리가 긴데다, 자신보다 몇인치는 더 큰 이들의 머리 위로 훌쩍 훌쩍 뛰어다니는 모습을 보면 이른바 '기골'만큼은 지금도 왕이 되기에 전혀 부족함이 없을 성 싶다. (그러나 신은 그를 1990년 조지아 주의 애틀랜타에 내리셨다)

나는 내 이름을 좋아해본 적이 거의 없다. 한글로 쓰면 너무 동글 동글한 느낌이고, 영어로 써봐도 기껏해야 귀엽다거나 특이하다는 인상을 줄 뿐이다. 게다가 종종 내 이름의 뜻을 물어오는 사람들을- 대부분 해외에서- 만날 때 나는 가장 곤혹스러웠는데, 한글자 씩 풀이해보면 분명 의미를 찾을 수는 있었지만 그 뜻이 전혀 이치에 닿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펄프 픽션]의 브루스 윌리스처럼 'Our name don't mean sh*t'  이라 넘겨버릴 수도 없었고, 그렇다고 글자마다 짚어가며 설명하지도 못한 채 그냥 얼버무리곤 했다. 그러고나면 한창 가속이 붙었던 대화는 시들해졌고, 이럴 때 나의 아쉬움과 짜증은 이름을 향했다. 어차피 내가 내 스스로에게 부여한 것도 아닌, 그 이름이기에.